반응형

Mass Media Review 55

[Magazine.과학과기술] 대한민국은 10년 후에 무엇으로 먹고 살 것인가?

시작하는 말 한국 산업의 저성장 기조 우리나라 경제의 저성장 기조가 고착화되고 있다. 고용없는 성장의 장기화는 사회적 문제로 점점 커지고 있다. 거시 경제적으로 주요국들의 환율, 이자율, 통화, 유가 등 정책으로 우리 경제에 불리한 여건이 조성되고 있고, 우리의 글로벌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다. 공병호 박사는 최근 "3년후 한국은 없다"라는 책을 썼고, 산업분석가 심정택 씨는 "무언가를 결정하도록 길러지지 않은 이재용의 삼성은 5년내 망한다"라는 말도 하고 있다. 14년도 자료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차지하고 있는 국내 GDP비중은 16%라고 말하고, 15년 6월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현대차의 GDP비중은 우리나라 GDP의 20%이다.국내 경제 전체적으로 힘들 뿐만 아니라 삼성도 많이 힘들다. 이..

[영화 스티브잡스 후기] 잡스의 겉이 아닌 속을 볼 수 있었던 영화

2016 1. 21 한국에서 영화 스티브잡스가 개봉했다.스티브 잡스의 열열한 팬인 나로서는 꼭 보고 싶었던 영화이고, 지난 주말 드디어 스티브잡스를 스크린으로 만날 수 있었다. 스티브잡스는 성공한 CEO 중의 한명이고, 혁신하면 모두들 그를 떠올리곤 한다.2013년 말 Harvard Business Review에서 성공한 100대 CEO를 뽑았는데 스티브잡스는 당당히 1위를 차지했었다. 그가 우리 곁을 떠난지 5년이 넘은 시간이 흘렀지만, 모두들 기억하고 누구는 그를 꿈, 목표로 살아가고 있기도 하다... 그만큼 이 영화에 거는 기대가 컸었다. 스티브 잡스 전기를 다룬 영화인만큼 그의 많은 면모를 볼 수 있었다.이 영화에 대해 스티브 잡스 팬 관점으로서 적어보도록 하겠다. (영화를 보실 분들은 스포일러가..

[2015 실리콘밸리의 한국인] 조성문 : 실리콘밸리에서 산다는 것

날짜 : 2015. 4.14장소 : 네이버 그린팩토리 커넥트홀 제목 : 실리콘밸리에서 산다는 것 : Live in Silicon Velley연사 : 조성문 ================================================================================================ 나중에 강연을 보실 분들은 아래의 강연을 갑자기 듣고 놀라지말고 멈춰주세요 ~~~~ ^^;;; ================================================================================================ 서두.... 2000 - 2007 게임빌 개발 기획실장으로 있었음. 호기심이 많은 스타일이라,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

포레스트 검프 (Forrest Gump, 1994) Review : 사는법을 알려주는 영화 강력 추천합니다 ^^

정말 유명한 영화이자 언젠가 꼭 보고 싶은 영화였다... 포레스트 검프. 결론부터 말하면 정말 볼만한 영화였고, 지금 나에게 힘이 되는 영화였던 것 같다... 아마 다른 순간에 보면 나에게 다른 의미로 다가올 수 있는 영화일 것 같다. 지난 여름, 합정역에서 친구의 친한 분인... 진현이라는 형을 만났다. 영화와 관련된 일을 하고, 많은 영화를 본 그가 권하는 최고의 영화인 포레스트 검프... 아직 영화를 보지 않은 분들은 여기서 그만 읽으시는 것이 좋을 것같습니다^^ 아래의 내용들이 스포일러가 될 수도 있거든요 ㅎ 1. How to face my life 인생은 답이 없지만, 여러개의 답이 있을 수 있다. 그걸 보여준 영화인 것같다. 포레스트 검프 그는 smart하지도, normal하지도 않고,,, s..

[나를 바꾸는 심리학의 지혜] SBS 아이러브인 최인철 교수편 리뷰

#1. 프레임 프레임 : 누구나 모두 각자의 프레임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다. 100원을 가지고도 각기의 프레임을 가지고 산다. #1. 택시를 타고 어디론가로 향할 때 우리는 택시미터기의 100원올라가는 것에 숨죽이며 목적지에 도달하곤 한다. #2. 시장에서 우리는 채소 등을 살 때 몇100원이라도 아끼기 위해 애를 쓴다. #3. 백화점 명품shop에 가서 우리는 단 돈 100원을 깎지도 않고 옷을 사곤 한다. 우리 모두 각자의 프레임이 있다. 최인철 교수님의 책과 강의를 통해 좀 더 내 자신의 프레임을 그려 볼 수 있었다. #2. 프레임의 저자 최인철 교수님을 만난 후 책 제 목 : 프레임(2011.3) 지 은 이 : 최인철 교수(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강 연 회 : SBS 지식나눔 콘서트 아이러브 [人]..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