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250

외국인이 쓰는 : 기초동사 정복 do(1)

ebs 현석 샘의 기초동사 강의를 요약한 내용입니다. 이번에는 do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do는 집안일 할때, 운동할때, 관용어구를 이용해 외국인들은 자주 사용한다고 합니다. ​ ​​​1. do ~하다(집안일)​ do를 이용하면 아래와 같은 표현들을 만들 수 있습니다. ​ ​​​1) 집안일을 하다 ; do housework -> 집안일을 했냐? : Did you do housework? ​​​2) 설거지를 하다 : do the dishes -> 나는 설거지를 혼자서 다했다. I did the dishes all by myself 여기서 혼자의 느낌을 살리려면 위와 같이 by를 재귀대명사 앞에 넣어야한다. do wash the dishes도 가능하긴 하나, do the dishes를 원어민들이 더 많..

[스터디코드 조남호] 수면 시간 관리 및 주말 활용 방법

강의명 : 수면시간 관리 및 주말 활용 방법강의자 : 스터디코드 조남호 코치 1. 수면시간 관리 수면은 Relax를 위해 아주 중요하다. 잠 : 단기기억을 장기기억으로 전환시킴잠은 인간의 기본적인 두뇌 메커니즘 두뇌는 휴식이 필요함 최적의 수면시간은 6~ 8시간-> 자신의 최적의 수면시간은 다음날 생활을 할때 졸지않고, 팔팔하게 생활할 수 있는 시간12시 이후에는 반드시 자는게 좋다고 함 충분히 자도 피곤하면, 쪽잠 10~20분을 활용하라 2. 주말 활용 방법쉬는 것도 공부이다. 계획을 세울때 주말을 비워둔다.월~ 금요일 계획을 세우고 실행하지 못하면 Spare day로 놔두고 보충한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다면아래 공감 클릭 부탁드립니다 ^^

[메가스터디 이상욱 강사] 기억력을 높이는 6가지 방법

강의명 : 기억력을 높이는 방법강사 : 메가스터디 이상욱 선생님 기억력은 잠이 중요하고, 스트레스가 많으면 스트레스가 감소한다.전두엽(전전두엽 포함)은 고등적 의식활동과 관련되어 있음.편도체는 두려움, 즐거움을 인식함. @ 기억 뇌가 기억하고 싶은게 있고, 내가 기억하고 싶은게 있는데 -> 뇌는 뇌가 기억하고 싶은 것을 기억하는게 성향이 있음. 위의 강의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기억 잘되는 6가지 방법1. 반복 : 잘자서 뇌가 암기하는 시간이 필요2. 소리 : 예민해지는 것3. 최대한 많은 감각을 활용4. 정서(감정)의 활용 (뇌의 전두엽에서 편도체로 자극을 줘야 함)5. 나와 관련된 것(연관짓기)6. 스토리. 이미지 (정보가공) -> 이야기를 만드는 창의적 발상이 중요

[스터디코드 조남호] 당신은 독한가???

당신은 독한가??? 세상에는 여러 사람들이 있지만, 천재 혹은 진짜 독한 사람들만 어떠한 분야에서 성공하는 것 같다.독함... 세상에서 어느정도 살기 위한 척도인 것 같다... 0. Good1. Great -> 독2. DeadLine @ 독을 경험해보면 모든게 심플해진다.독한 것을 경험해보는 것은 너무너무 중요하다. 영상의 제작 의도처럼 수능공부를 하면서도 좋지만, 그 이후에도 언젠가 그렇게 경험해보는 것이 좋은 것 같다. 주변 사람들이 진짜 독하다는 생각을 해야한다. 운동할때도 가기 전에 100만번 합리화해서 운동한다.영상 13:00부터 시작하는 내용 좋음... @ 인생에 있어서 깨어있어야 한다!성공하려면, 살아가면서 항상 깨어 있어야 한다. 내가 지금 뭘 하고 있나? 뭘 지향하고 있나? 음악, 영화분..

외국인이 쓰는 : 기초동사 정복 Get(2)

외국인이 자주 쓰는 두번째 get 내용 정리한 것입니다. 본 불로깅 글은 이현석 선생님의 EBS 기초동사 chapter 4-5 내용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get은 다양한 뜻이 있는데, 사다, 받다, 도착하다, 되다 라는 뜻이 있습니다. 관련해서는 먼저 올린 블로깅 글 get(1) 글 참고 바랍니다. get에는 위의 4개 뜻 말고도 동작에 관한 ​하다​라는 뜻과 서비스를 받다 ​​라는 뜻도 있습니다. 아래 참고바랍니다^^ ​​​5. get ~하다 (동작) ​외국인이 쓰는 : 기초동사 정복 Get(1) 1) 휴식을 취하다 get some rest 2) 운동을 하다 get some exercise 3) 잠을 자다 get some sleep 4) 인터넷에 접속하다 get access to the internet..

외국인이 쓰는 : 기초동사 정복 Get(1)

본 블로깅은 EBS 이현석 샘의 기초동사 정복 강의를 정리한 것입니다. Chapter 1~ 4에 걸친 get 용법을 정이한 것입니다-> get 받다, 사다, 도착하다, 되다(상태변화)​ ​​​1. Get 받다 Get은 우리가 아는 받다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 1) get a discount 할인받다 2) get a refund 환불받다 3) get an exchange 교환받다 4) get a good deal / get good deals 싸게 사다 5) get a good score 좋은 점수를 받다 ​ ​​​2. Get 사다 ​ 1) get a car 차를 사다 2) get a new phone 폰을 새로 사다 3) get some coffee 커피를 사다 4) get groceries 장을 보다..

[보다 나은 미래를 만드는 길] 참을성있는 아이가 30년후 연봉이 더 높다

Episode1.예전 1970년대 고안된 마시멜로 테스트에 관한 이야기를 다룬 책이 있었다. 눈앞 유혹을 참는 아이가 커서 성공확률이 훨씬 높다는 내용이였다. Episode2.얼마전, 저드슨 브루어 박사의 나쁜 습관을 없애는 TED 강의를 정리해 블로깅 한 적이 있다. 이 역시 이번에 본 Article과 같은 맥락에 놓여져 있다. Question???우리는 우리 인생의 결정적인 상황에서 미래보다는 현재에 발생한 행동을 하고 후회한다. 결정적인 상황이였지만 그 당시 우리는 아무것도 아닌양 미래의 목표 달성보다는 현재의 욕망에 따라 우리의 인생을 결정한다. 아무리 참아보려 노력은 하지만 이겨내기가 쉽지 않아 행동하고 훗날 후회한다. 예전 저드슨 브루어 박사의 TED강의를 보완한 블로깅 내용이 이번 블로깅인 ..

외국인이 쓰는 : 기초동사 정복 Come

​​​​1. come 오다 ​ ​​​1) come home 집에 오다 when are you coming home? 언제 집에 오니? I came home very late last night 난 어제 집에 매우 늦게 왔어 ​​2) come to my place 우리 집으로 오다 come to ~로 오다 why dont you come to my place? 내집에 안올래? ​​3) come in 들어오다 they were inthr middle of the meeting when I came in 내가 들어갔을때 그들은 회의 중이 였다 ​​4) come over 건너오다 please tell her to come over over 는 건너온다는 느낌이 있음 ​ ​​​2. Come 도달하다 ​ ​​1) ..

[Windows] Host파일을 이용해 쉽게 웹 접속하기

회사에서 개발할 때나 어느곳에서 개발할 때 IPv4주소를 일일이 쳐서 들어가야할 때가 있다.그래서 쉽게 naver 등을 쳐서 들어가고 싶을 때가 있다. Hosts 파일 경로 : C:\Windows\System32\drivers\etc 위의 경로에 있는 hosts 파일을 수정하면 된다. Hosts파일 수정하기수정은 메모장에서 열면 된다. 70.111.223.100 ipV4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호스트파일에 입력해주었다.www.opentest.com이나 opentest.opentest.com이라고 웹 브라우저 URL에 입력해주면 70.111.223.100으로 이동된다. # new server70.111.223.100 www.opentest.com 70.111.223.100 opentest.opentest.c..

[SW Algorithm 기초] 알고리즘 기본설명

1. 알고리즘이란? 유한한 단계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절차나 방법컴퓨터가 어떤 일을 수행하기 위한 단계적인 방법 2. 알고리즘 표현방법슈더코드순서도 3. 알고리즘 성능은 무엇으로 측정하는가? 정확성 : 얼마나 정확하게 동작하는가작업량 : 얼마나 적은 연산으로 원하는 결과를 얻어내는가메모리 사용량 : 얼마나 적은 메모리를 사용하는가단순성 : 얼마나 단순한가최적성 : 더이상 개선할 여지 없이 최적화 되었는가 => 성능 분석이 필요: 알고리즘의 작업량을 비교함예) 1부터 100까지 합구하는 문제알고리즘1 : 1+2+3+ ... + 100 : 100번의 연산알고리즘2 : (100 * (1+100)) /2 : 3번의 연산 시간복잡도(Time Complexity): 실행되는 명령문 개수를 계산 -> 실제 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