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코딩]JAVA Arraylist 특징과 주요 메소드 소개
자료구조의 기본은 배열이다.
생활코딩에서 강의를 듣고 배운 내용을 아래와 같이 요약해보았다.
배열 (Arraylist)
1. Import 패키지 : Java.util.ArrayList
list 추가시 빈공간에 들어가고 데이터는 밀림
list는 빈공간을 허용하지 않음
2. 단점 :
ArrayList 데이터 추가 삭제마다 다이터를 옮김 -> 시간이 많이 필요
3. 장점 :
arraylist는 index를 빨리 가져올 수 있음 -> 내부적으로 배열을 이용하기 때문
Size() : 데이터 크기도 쉽게 알 수 있음
4. JAVA에서의 Arraylist 사용법
(1) 객체 생성
ArrayList<Integer> numbers = new Arraylist<>();
(2) 데이터 추가시 add 메소드 사용
numbers.add(10)
numbers.add(1,50) : index 1번에 50이라는 숫자 넣기
(3)데이터 삭제시 remove 메소드 사용
numbers.remove(2) : index 2번째 값 삭제, 빈공간은 메꿈
(4) 데이터 가져올 때 get 메소드 사용
numbers.get(2) : index 2번째 값 가져오기
(5) 몇개 데이터 있는 지 확인 : size 메소드 사용
numbers.size();
(6) 반복(Iteration)
Iterator it = numbers.iterator(); (아래 참고 바람)
iterator 메소드 호출하여 Iterator 데이터 타입에 넣음 (iterator는 자바의 인터페이스)
- hasNext가 true일 때까지 반복
next메소드는 numbers라는 array data를 순서대로 리턴해서 담음
numbers의 값이 없으면 hasNext메소드가 false 됨
- for(int value : numbers)
numbers 저장 값을 하나하나씩 value에 담음
많은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사용하기도 한다.